고닥 Kodac Ko
고닥(1986, 대한민국 제주)은 현재 독일 베를린에 거주하며 스스로의 이주와 적응의 경험을 영상 작업으로 풀어간다. 최근 로마 아트 위크와 제주도립미술관, 아트스페이스 빈공간에서 단체전과 개인전을 진행한 바 있다. 고닥은 출발지와 도착지, 준비와 시작, 과정과 결과, 현실과 꿈, 그리고 의식와 무의식 등의 사이를 포착하고 끌어내며, 우리의 인지 바깥에 있던 경험과 정체성을 눈 앞으로 가져온다. 특히 두 양극의 팽팽한 긴장과 불가분한 결합은 사이를 오가는 이주와 끝없는 순환이 인간의 근본을 형성함을 역설한다. 간극을 드러내고 그 사이를 다시 연결하며 작가는 이중적 정체성을 드러낸다.
Kodac Ko (1986, Jeju, South Korea) currently resides in Berlin, and explores experiences of migration and adaptation through video art. Recently, exhibitions have been held at Rome Art Week, Jeju Museum of Art, and Artspace Bin, both solo and group. The work focuses on capturing and drawing out the in-between spaces of departure and arrival, preparation and initiation, process and result, reality and dream,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is approach brings experiences and identities that lie beyond cognition into view. The tension and inseparable connection between these polarities underscore the idea that migration and endless cycles form fundamental aspects of human nature. By revealing the gaps and reconnecting these spaces, the artist highlights dual identities.
HP: https://kodac.net/
화면 속 무기명의 여성은 천천히 눈을 감는다. 한 겹의 눈꺼풀을 감으면, 흐릿해진 세상 사이로 시야는 암흑이 아닌 빨간색으로 뒤덮인다. 이는 피부를 통해 투과하는 빛과 눈의 착시로 인한 현상이며, 빨간색은 꿈과 현실 사이의 과도기적 상태를 상징하는 색이 된다. 이렇게 형성된 의식이 있는 수면상태(Hypnagogia)의 공간, 즉 ‘빨간방'은 의식과 무의식 사이의 심리적 공간이자 눈을 감고 뜨는 사이의 물리적 공간이다.
빨간방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백색 현실 공간에서 주어진 외부 자극에 연관된다. 빨간방은 현실과는 다른, 동시에 완전한 꿈속도 아닌 공간으로서, 외부 자극이 다양한 감각 경험으로 변환되어 일어날 수 있는 터가 된다. 따라서 여성의 눈가를 쓸어내는 붓질의 행위는 빨간방에서 포크레인이 흙바닥을 긁어내고, 흙을 부수고 모으며 쌓는 행위로 변환된다. 현실에서 꿈으로, 또는 꿈에서 현실로 완전한 전환에 이르지 않은 상태의 빨간방에서는 깨어있는 수면의 경계에서 현실과 얕은 꿈의 대치가 발생한다.
현실에서 외부 자극의 감각적 경험은 빨간방에서 새로운 감각으로 변환된다. 두 상태 사이의 온전하지 못한 전환으로 인해 현실의 촉각적 경험은 빨간방의 시각적 경험으로 대치된다. 또한 영사 전반을 채우는 적색소음(Red Noise-Brown Noise), 즉 상공을 나는 기내에서 들을 수 있는 소음은 출발지와 도착지, 현실과 꿈, 의식과 무의식 사이에 떠 있는 상태를 상상하게 한다. 이러한 청각적 경험은 경계를 오가며 일시적으로 머무는 공간으로서의 빨간방을 떠올리도록 한다. 따라서 <방 사이의 방>은 영상 작업에 기반하지만, 시각과 청각을 넘어선 촉각의 경험을 동시에 수반한다.
이렇듯 현실도 꿈도 아닌 곳에서 생성 혹은 변화한 정체성이 머무는 빨간방은, 현대사회 노마드의 부유(浮遊)의 공간으로 연결된다. 꿈과 현실이라는 기존의 구획과 범주 사이에 새롭게 형성된 빨간방이라는 중간 지대는 정착과 정주 대신 부유와 이주를 택한 노마드의 삶의 터전과 닮아있다. 이곳에서 노마드는 현실에서 또 다른 현실로, 감각에서 또 다른 감각으로 부유하며 생존한다.
The unnamed woman on the screen slowly closes her eyes. As she closes a layer of eyelids, her vision is bathed in red, not darkness, through a blurred world. This is due to the optical illusion of light penetrating through the skin, and red becomes the color that symbolizes the transitional state between dream and reality. This space of conscious sleep (Hypnagogia), or the "red room," is the psychological space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nd the physical space between closing and opening the eyes.
What happens in the red room is related to external stimuli presented in the white space of reality. The red room is a space that is different from reality, but also not a complete dream, where external stimuli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ensory experiences. Thus, the act of brushing the woman's eyes is transformed into the forklift scraping, breaking, collecting, and piling up the dirt in the red room. In the red room, where the transition from reality to dream or from dream to reality is not complete, a confrontation between reality and lucid dreaming occurs at the boundary of waking sleep.
The sensory experience of external stimuli in reality is translated into new sensations in the red room. The tactile experience of reality is replaced by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red room due to the incomplete transition between the two states. In addition, the Red Noise-Brown Noise that fills the entire projection, the noise heard in an airplane flying overhead, evokes the idea of floating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reality and dream,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is auditory experience reminds me of the red room as a space of transience, of moving between boundaries. Therefore, Room Between Rooms is based on video work, but it also involves a tactile experience that goes beyond sight and sound.
In this way, the red room, where the created or changed identity resides in a place that is neither reality nor dream, connects to the floating space of the nomad in contemporary society. The newly formed middle ground of the red room between the existing categories of dream and reality resembles the life of nomads who choose floating and migration instead of settling down. Here, Nomad survives by floating from one reality to another, from one sense to another.
글: 정서현 Seohyun Jung